이 땅의 교육은 어디로
이 땅의 교육은 어디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원 고문>



지구 상에서 이 땅의 학생과 학부모 처럼 힘든 삶을 사는 나라가 또 있을까!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세계에서 제일 많고, 정부 전체 예산의 10%를 초과(1년간 20조원)하는 사교육비를 쓰는 나라. 하지만 남은 것은 좌절감과 허탈감 그리고 무기력 뿐이라니, 진정 교육의 왕도는 없는 것인지?

진정한 교육이란 무엇인가? 크게는 자연의 질서를 가르치는 것, 지성과 감성을 조화롭게 키우는 것이다. 작게는 교육이란 머리에 집어넣은 것이 아니라 머리에서 꺼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창의력과 상상력 그리고 사고력을 높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느낀 것은 고학력이 될수록 질문이 적을 뿐 아니라 수업이 점점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생의 70% 이상이 4년 동안 한 번도 질문을 하지 않고 학교를 졸업하는, 이런 교육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입시에 매달려 암기 위주의 반복적인 학습을 하고 또 문제를 이해하지(why) 않고 푸는 방법(how) 만을 강요해 학생들이 흥미를 잃은 결과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때 “학교에 가서 선생님 말씀 잘 들어라”고 말한다. 유대인 부모들은 반면 “학교 가서 질문을 많이 해라”고 말하며, 아이들의 입술에 달콤한 꿀을 발라주고 “배움이란 이렇게 달콤한 거야”라고 가르친다. 소수민족인 유대인이 모든 학문 분야에서 세계 정상에 우뚝 서 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의 교육 때문이다. 교육과정에서 어떻게(how)가 아니고 왜(why)라고 하는 접근 방법은, 자연스럽게 질문을 유도한다. 거기서 창의력과 상상력이 생겨나고, 동시에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통해 사고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우리의 교육은 일률적으로 머리에 넣는데만 급급한 반면 유대인들은 머리에서 꺼내는 교육을 시킨다. 우리 부모들도 가정에서 책 읽고 공부하는 모습을 자녀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또 자녀들에게 좋은 책을 사다주면서 책 내용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한다면 자연스레 질문과 토론의 장이 마련될 것이다. 교육은 가정과 학교에서 함께 하는 것이다.

우리말에 용장 밑에는 졸장이 없다는 속담이 있다. 이는 훌륭한 교육자 밑에는 훌륭한 학생들이 있다는 뜻이다. 그러면 경쟁력 있는 교육자의 덕목은 무엇일까? 첫째는 학생들에 대한 사랑과 교육에 대한 열정이다.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그 꿈을 이루는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열을 알아서 하나를 가르칠 생각을 해야 한다. 한 두개를 알고 하나를 가르치면 선생님도 학생도 모두 피곤할 수 밖에 없다. 많이 알수록 지도하기 쉽고 배우는 학생도 쉽게 이해한다. 그래서 가르치는 것은 예술 (Teaching is art)이라고 한다. 또한 교육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자기를 되돌아 볼 줄 아는 용기이다. 진정한 교육자는 가르치는 학생이나, 동료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사람이다. 그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서 자신의 장단점을 깨달음으로써 좋은 점을 더 좋게, 부족한 점은 개선할 수 있다. 교육자의 경쟁력을 높이는 최선의 방법은 모든 교육자가 교원평가제에 기꺼이 참여해 학생들이 무엇을 원하고, 동료들의 평가가 어떤 것인지 자기를 돌아보고 변신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다. 교육에 가장 중요한 것은 경쟁력이 있는 교육자이다.

이 시대는 무한경쟁 시대이며, 자원전쟁 시대, 불확실성의 시대라고도 한다. 이는 아무도 거역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 자원 빈곤의 대한민국이 이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국가의 세 기둥인 부모와 교육자 그리고 공무원이 각자의 위치에서 학생의 장래와 국가의 미래를 위해 즐거운 교실이 어떤 것인지,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실천함으로써 영원히 ‘마르지 않는 교육의 샘’을 마련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교육 만이 마르지 않는 자원이며, 교육자원은 쓰면 쓸수록 더 많은 자원이 솟아나기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