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병
천상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오늘 아침을 다소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은,/한 잔의 커피와 갑속의 두둑한 담배,/해장을 하고도 버스 값이 남았다는 것.//…(중략)…가난은 내 직업이지만/비쳐오는 이 햇빛에 떳떳할 수 있는 것은/이 햇빛에도 예금통장은 없을 테니까…”(‘나의 가난은’ 중에서)

귀천(歸天)의 시인 천상병(千祥炳.1930~1993.4.28). 그는 정치적 폭력이 난무하고 물질문명이 판치던 시대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영원한 자유인이었다.

1930년 일본에서 태어나 1945년 귀국해 마산에 정착한 그는 1951년 서울대 상대에 입학, 1952년 ‘문예’지 천료, 1967년 동백림 사건으로 6개월간의 옥고, 1971년 고문의 후유증과 음주로 행려병자로 병원에 입원, 1972년 결혼, 1993년 작고하기까지 ‘천상병은 천상 시인이다’ ‘저승 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 등의 시집을 남겼다. 짧다면 짧은 그의 이력이다. 1971년 정신병원에 입원하자 유고시집 ‘새’가 발간돼 살아 있는 시인의 유고시집을 냈던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

순진무구한 어린이의 마음과 눈을 가진 서정시인이었던 그는 작고한 지 10여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무소유 또는 자유인의 표상으로 남아 있다.

1967년 동백림 사건 연루와 그에 따른 고문 체험은 이후 그의 전 인생을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귀천’ 중에서)는 시처럼 삶에 대한 달관과 죽음에 대한 체관이 조화를 이루는 성공적인 시를 획득하기도 했다.

그러한 그가 마지막 가는 그의 영결식장에서 “일어나서 한 번만 삼촌이라고 부르고 죽으라”고 울부짖던 소설가 천승세씨(69)에 의해 ‘실록소설 천상병’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 12월부터 표선리에서 작업 중인 이 실록소설은 천상병에 대한 기인.광인 등 잘못된 평가를 걷어내고 진정한 평화인으로서 천상병을 그려내고 있다고 한다.

또 하나 천상병 작고 후 제주에서는 그를 추모하는 문학의 밤이 해마다 열려 천진성의 시학과 참자유인의 문학관을 되새기기도 했다. 도내 문인을 비롯해 서울에서 내도한 시인, 평소 시인을 좋아했던 독자, 주부 등이 제주시 용두암 해안도로변의 한 카페에 참석, 시인을 추억했다. 1997년 두번째 문학의 밤에 참석했던 미망인 목순옥 여사는 “남편을 부축하며 손잡고 걸어온 소풍길은 화려하지는 못했지만 따스한 바람에 진달래도 피고 개나리도 피는 봄나들이 같은 세월이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잠시 머물렀던 이승에서의 소풍을 끝내고 하늘로 돌아간 시인 천상병.

그 소풍의 길 위에 찍혀 있던 숱한 발자국들에 대한 이야기들은 이제 곧 실록소설에 담겨 세상밖으로 나오리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