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장사’는 ‘손해보는 장사’
‘전기 장사’는 ‘손해보는 장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학수 한전제주큭특별지사
전기요금이 조만간 오를 전망이다.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등 인상 요인 누적에 따른 고육책이다. 주변에서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여건에 또 전기요금 인상이냐며 볼멘소리를 한다. ‘전기는 쓰는 만큼 꼬박꼬박 요금을 내는데 그렇게 편한 장사가 어디 있느냐’며 도저히 요금 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도 한다.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편으로는 소통의 부재가 안타깝기도 하다.

모든 ‘장사’는 이익을 전제로 한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할 때 그에 소요되는 비용보다 판매로 인한 수입이 조금이라도 남아야 한다. 전력사업도 마찬가지다.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할 때, 전기 생산 비용을 비롯하여 판매에 이르기까지 소요된 모든 비용보다는 전기사용고객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요금(판매수입)이 많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제주지역만 예를 들어보자. 지난해 기준으로 제주지역의 전기 1kWh 평균 판매단가는 84원 가량이었다. 연간 전기 판매로 인한 수입을 전기 판매량으로 나눈 수치다. 이에 비해 1kWh의 생산단가는 약 118원이었다.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송전·배전선로를 이용해 고객들에게 전기를 판매하고 요금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포함한 것이다. 즉, 제주에서 전기 1kWh를 생산해 판매하면 한전은 34원을 손해 본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수익 구조 속에서 지난 해 한전 제주특별지사의 영업 손실은 1000억원을 훌쩍 넘는다.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한전 제주지사의 영업 손익은 지금껏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일부에서 생각하듯 공기업인 한전의 경영 비효율성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다. 전기요금 체계의 경직성 때문이다. 밀가루 값이 오르면 자장면 값이 오르는 게 정상적인 경제 논리이다. 그러나 국제 유가 상승으로 발전 연료비용이 올라도 전기요금은 한전 임의대로 올릴 수 없다. 그러니 손해가 날 수 밖에 없다.

어려운 경영여건 속에서도 전기요금 인상폭을 1%라도 줄이는 게 국민 대표 공기업인 한전의 소임이라 생각하고, 다양한 자구노력을 펼치고 있는 한전 제주특별지사의 노력을 조금이라도 헤아려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