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중 낙마' 검찰총장 수난사
`임기 중 낙마' 검찰총장 수난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임채진 검찰총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해 3일 사직서를 제출함으로써 임기를 못 채운 또 한 명의 총장으로 기록됐다.

국가 수사력의 정점에서 사정의 `칼'을 휘둘렀다가 민감한 사안에 얽히거나 후폭풍을 이기지 못해 중도에 하차한 여러 명의 역대 총장들의 전철을 밟은 것이다.

검찰의 중립을 보장하려고 총장 임기제가 도입된 1988년 이후 임채진 총장까지 이 자리를 거친 14명 가운데 김기춘ㆍ정구영ㆍ김도언ㆍ박순용ㆍ송광수ㆍ정상명 전 총장 등 6명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임기 2년을 채우지 못했다.

박종철(1993.3.8~1993.9.13) 전 총장은 김영삼 정권 당시 구여권 사정의 일환인 슬롯머신 사건 수사를 두고 권력층과 마찰을 빚다 취임 6개월 만에 사직했다.

김기수(1995.9.16 ~1997.8.7) 전 총장은 "다음 달로 예정된 총장 퇴임 시기 때문에 검찰 인사가 미뤄지면 안 된다"며 임기 만료를 한 달가량 남겨두고 사임했지만, 한보사건 재수사 도중 김영삼 전 대통령 차남 현철씨를 구속한 것이 실제 사퇴 배경으로 거론됐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도 총장의 수난은 그치지 않았다.

신승남(2001.5.26~2002.1.15) 전 총장은 `이용호 게이트' 특검 수사과정에서 동생 승환씨가 이씨로부터 돈을 받고 로비를 벌인 혐의로 구속되자 도의적 책임을 지고 스스로 물러났다.

이어 취임한 이명재(2002.1.17~2002.11.5) 전 총장은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검찰권 수호를 표방하며 신뢰회복 및 사기 진작을 도모했지만 취임 첫해 발생한 서울지검 피의자 고문치사 사건의 역풍으로 옷을 벗었다.

이 사건으로 김정길 법무부 장관까지 사직해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겼으며 조직이 전례 없는 책임론에 휩싸이기도 했다.

김 전 대통령이 임명한 김각영(2002.11.11 ~2003.3.10) 전 총장은 검찰총장의 임기를 존중하겠다는 노 전 대통령의 의사 표명에 따라 정권 교체 후 직을 유지했지만 2003년 3월 대통령과 평검사 간의 대화에서 노 전 대통령이 검찰 수뇌부에 대해 노골적인 불신을 표명하자 곧바로 사직했다.

이후 검사장급 고위직이 잇따라 사의를 표명했으며 검찰총장보다 한참 후배인 강금실 변호사가 기수 서열을 깨고 법무부 장관에 임명되자 내부 반발은 극단으로 치달았다.

가장 최근 도중하차한 김종빈(2005.4.3∼2005.10.17) 전 총장은 동국대 강정구 교수를 불구속 수사하라는 천정배 당시 법무부 장관의 수사 지휘권 발동에 맞서 이를 수용하되 사퇴하는 방식으로 항명 의사를 표시했다.

임기제 도입 이전에는 신직수(1963.12.7∼1971.6.3) 전 총장과 같이 장수를 누린 일도 있었지만 `단명'하는 총장도 있었다.

허형구(1981.3.10∼1981.12.15) 전 총장은 서울지검 특수1부가 `저질연탄' 수사를 벌여 전두환 전 대통령의 칭찬을 받기도 했지만 대통령 인척을 통한 업자들의 진정으로 결국 퇴진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