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위기 어떻게 되어 가나
북핵위기 어떻게 되어 가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북한의 핵 보유가 목전에 달했다는 보도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북한 당국은 미국에 대해 8000여 개의 폐연료봉의 재처리를 완료했다는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황이고, 우리 정부는 아직 북한이 재처리를 완료했다는 확실한 과학적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언론들은 미 정보기관이 영변 근교의 대기 샘플을 분석한 결과, 방사성 물질인 크립톤 85를 검출했다는 보도를 하고 있다.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북한은 재처리를 이미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북한의 핵무기 보유 여부에 대해 미국 정보기관들은 1994년 제네바합의 이전에 핵무기 1~2개를 생산할 수 있는 플루토늄을 추출했고, 이를 이용해 조악한 수준이지만 핵무기 1~2개를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해 왔고, 제네바합의로 동결된 영변의 5㎿ 원자로를 가동하여 8000여 개의 폐연료봉을 재처리한다면 핵무기 5~6개를 생산할 수 있는 30㎏ 정도의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왔다.

북한은 지난 1월 NPT(핵확산금지조약) 탈퇴 이후 수차례에 걸쳐 미국에 대해 북한이 이미 재처리를 완료했다거나 심지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통보한 바 있으나, 미국은 이에 대해 폐연료봉의 재처리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공갈용’으로 치부해 온 것도 사실이다.

즉 미국은 북한의 핵 보유 시인이 북.미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전형적인 공갈게임’으로 간주하고, 이에 심각하게 대처하지 않아 왔다. 미국은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레드라인을 의도적으로 설정하거나 최후통첩(ultimatum)을 하려고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만에 하나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었을 경우 한국과 일본의 반대로 말미암아 미국이 경제적 제재나 선제 공격 등 확실한 대응조치를 취하기가 어려운 상황에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과 미국은 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합의하에 ‘다자간 대화’를 통한 해결을 시도하고 있고, 북한은 핵 문제는 북.미 간 문제임을 강조하고 양자간 해결을 주장하고 있어 핵 문제를 둘러싸고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이 폐연료봉의 재처리를 시작했다는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우리에게 시간이 별로 많지 않음을 의미한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북한 핵무기를 용납하지 않으며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원칙을 세워놓고 있지만, 북한이 계속 핵 보유를 강행할 경우에 어떤 수단으로 저지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정책이 없는 듯하다.

북한은 9월에 ‘남북평화체육축전’을 치르기로 합의하는 등 남.북 화해의 제스처를 보이면서 한반도에 평화 무드를 조성하는 한편 한반도의 핵 위기가 자칫 조지 부시 행정부의 대북강경 정책에 기인한 것처럼 선전하고 있다.

북한 핵 위기의 근원은 미국의 강경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이 제네바합의를 어기고 1994년 이후 계속 핵과 장거리미사일 개발을 시도해 왔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실히 인식해야 한다.

우선은 다자간 대화의 틀내에서 핵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 정부가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해야 하겠지만, 오로지 대화를 통한 해결만을 주장할 때 과연 북한이 그 대화에 선뜻 응할지는 의문이다.

특히 북한의 핵 보유 시도가 협상전술이 아니라 안정 보장을 위한 궁극적인 목표일 경우에는 대화를 통한 해결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 정부도 대화만을 통한 해결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식량과 의료품 등 인도적 지원 이외의 대북경제협력을 점차 중단하는 등 봉쇄전략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북한의 행동을 우리가 원하는 바대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협상과 봉쇄를 병행해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