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은 누가 해야 하는가
사회통합은 누가 해야 하는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태환 지사가 “도민과의 소통에 더욱 힘 쓰겠다”며 ‘도민화합과 사회통합’을 향후 도정운영 방향의 첫 번째 기조로 꼽은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도정운영의 기조가 실제로 그렇게 변화되지 않는 한, 정치적인 수사(修辭)에 그치고 말 공산이 크다.

요즘 우리 사회의 갈등 양상이 자생적인 사회병리라기보다는 정치력 부재에서 비롯된 측면이 큰 탓이다. 자기성찰이 선행돼야 하는 이유다.

‘도민화합과 사회통합’은 김 지사가 평소 늘 강조하는 도정 목표 중 하나다.

오히려 갖가지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는 건 아이러니다.

사회통합은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이 공동체의 소속감과 가치관, 그리고 비전을 공유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여 ‘불평등의 최소화’를 달성하는 상태를 말한다.

그러면 우리 사회통합은 누가 해야 하는가.

과거 종교의 영향력이 컸을 때는 종교도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었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교육자들도 사회통합에 한 몫을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 구실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불가불 통합의 일차적인 책임은 도정(道政)에 귀착하게 됐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도정만으로는 갈등을 해소하고 관리해 통합을 성취하는 데는 역부족이다.

이제는 사회통합의 기능이 도정과 시민사회의 공동 몫이 됐다.

이 두 부문이 사회통합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심(私心)’을 버려야 한다.

제주사회는 그동안 고속 성장과 민주주의 이행 등의 변화 속에서 모두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살아온 것이 끊임없는 갈등의 뿌리다.

공동체적 공영을 위해 자기중심적 욕심을 억제해야 한다.

또한 소외당하는 계층이나 집단이 없도록 시민사회가 스스로 성숙해나가야 한다.

중요한 일은 서로 다른 이해관심과 이념을 가진 집단이 서로를 인정하고 양보·타협해 합의에 이르는 절차적인 지혜가 필수조건이다.

독선과 불신과 자기중심적인 사고가 앞서면 합의도 통합도 불가능이다.

우리의 고질적인 배타성이 통합을 저해하는 주된 요인임을 직시하고 도정과 시민사회가 다시 한 번 성찰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진력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