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지수
행복지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으레 정치인들은 입만 열었다하면 국민의 이름을 들먹인다.

여당이든 야당이든 이들은 자신의 주장 앞에 국민의 이름 팔기를 밥 먹듯 한다.

그럴 때마다 정작 국민들은 불쾌하고 소송을 걸고 싶은 심정이다.

국민들 누가 지지 하고 지지율은 얼마인지를 쏙 빼먹기 때문이다.

속된 말로 정치인들은 불륜 상습범이다. 자신이 하면 사회정의요 로맨스고, 남이 하면 사회정의가 무너지고 가정 파괴범이란 주장을 일삼고 있어서다.

오늘도 정치인들은 국민들로부터 온갖 지탄을 받으면서도 당리당략에 매몰된 모습들이다.

우리사회에 민주적 절차가 사라지고 실정법을 무시하는 행태가 만연됨은 이런 연유 때문이다. 결국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지수를 떨어뜨리는 일등공신은 정치인들이다.

▲행복지수는 영국의 여성 심리학자 캐럴 로스웰과 인생상담사 피트 코언이 만들었다.

공식은 ‘행복=P+(5×E)+(3×H)’다. 여기서 P(Personal)는 인생관·적응력 등 개인적 특성을 일컫는다. E(Existence)는 건강·돈 등 생존의 기본요소를 가리킨다. H(Higher order)는 개인의 자존심이나 야망 등 상위욕구를 나타낸다고 한다.

조사방법과 연구방법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고 차이가 있지만, 모든 것을 계량화하기 좋아하는 현대인들은 행복마저 행복지수라는 이름으로 계령화해 놓았다.

한국은 세계적인 국민행복지수 조사에서 계속 중하위권이다. 지난해엔 영국 신경제재단(NEF) 조사결과 143개국 가운데 68위에 그쳤다. 세계 경제규모 12위 안팎의 자화상이 몹시 부끄럽다. 전문가들은 ‘양극화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몇 년 전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한국종합사회조사’ 결과, 절대적인 소득수준보다 남과 비교한 상대적인 소득수준이 행복과 불행의 정도를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BBC방송의 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방송은 런던 교외 작은 마을 주민들 대상으로 ‘행복 만들기’ 실험을 실시했다고 한다. 그 실험 가운데 ‘내가 월급300만원을 받고 남이 450만원을 받는 경우’와 ‘내가 150만원을 받고 남이 100만원을 받는 경우’에서 ‘나는 어느 경우를 선택하겠냐’는 식의 설문이 있었다. 놀랍게도 주민들 대부분은 후자를 선택했다고 한다. 절대적 액수의 많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내가 많이 받는다는 사실에 더 우월감을 갖고 행복감을 느낀다는 의미다.

우리 경제 현실을 놓고 볼 때 상대적 박탈감만 깊어지니, 국민의 행복지수가 올라갈 가능성은 암담하기만 하다.

<김범훈 논설실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