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애완용으로 사랑 받았던 개·고양이‥떠돌이 ‘도시 동물’ 로 전락
한때 애완용으로 사랑 받았던 개·고양이‥떠돌이 ‘도시 동물’ 로 전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불황으로 버려지는 사례 갈수록 폭증‥ 쓰레기 난장판 만들고 질병 전파 우려

◀[사진설명] = 불황이 계속되면서 버려지는 개와 고양이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14일 제주시 축산계 직원이 포획한 개를 보호소에 수용하고 있다. <오은정 기자> ejoh@jejunews.com


한때는 애완동물이라며 넘치는 사랑을 받았던 개와 고양이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길거리에 내버려져 시민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이로인해 시민들의 민원이 속출하고 있지만 자치단체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과 인력난을 탓하며 골머리를 썩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애완동물 사육두수의 증가와 맞물려 버려지는 동물은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게 더 큰 문제다.


0실태=제주시는 올들어 지난달말까지 길에 버려진 개와 고양이 293마리를 포획했다.

작년 한해동안 잡아들인 255마리를 벌써 훨씬 넘어선 것이다. 2002년(104마리)에 비해서는 세곱절가까이로 불어난 상태.

번식력이 좋은 고양이는 작년에 102마리가 포획됐으나 올해는 45마리로 상당히 줄었다.

제주시가 작년11월말 시내 곳곳에 40여개의 덫을 놓아 잡은뒤 불임시술후에 야생지에 방사한 탓에 번식이 더 이상 안돼 개체수가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작년 한해동안 153마리가 포획됐던 개는 올들어 벌써 243마리로 급격히 늘었다.

이는 애완동물 사육 붐과 무관치 않다. 몇 년전만 해도 버려진 개나 고양이는 '가출'하거나 주인을 잃은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엔 불황이 계속되면서 애완동물로 키우다 버려진 동물들이 가세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포획된 개는 일단 보호소에 수용된뒤 한달정도 보호를 받다 소유자가 확인되면 주인에게 인계하고 방견은 동물애호가나 연구기관에 기증되거나 안락사 처리된다.

올해 포획된 개의 경우 21마리는 주인의 품으로 돌아갔지만 사고를 당하거나 질병을 앓던 110마리는 안락사로 일생을 마쳤다. 나머지 74마리는 제주대 수의학과에 연구용으로 넘겨졌고 38마리는 개인에게 기증됐다.


0문제점=버려진 떠돌이 개와 고양이는 이만저만 골칫덩이가 아니다. 야간에 갑자기 튀어나와 시민과 운전자를 놀라게 하는가 하면 문밖에 내놓은 음식물 쓰레기를 뒤져 난장판을 만들어 놓기 일쑤다.

특히 고양이들은 밤새 울어대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주는등 버려진 동물로 인해 시민생활에 큰 불편은 물론 질병 전파등 위험을 안겨주고 있다.

이로인해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자 자치단체들이 갖가지 아이디어를 동원해 소탕에 나서고 있지만 인력과 예산 부담이 만만치 않아 큰 어려움을 겪고있다.

제주시는 유기동물 처리 예산으로 올해 1600만원을 확보해놓고 있지만 늘어나는 유기동물을 보호.처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개 한마리를 잡는데만 마취약과 주사기 비용을 포함해 1만9500원이 들고있고, 고양이 불임시술 비용도 마리당 2만원 정도 소요된다.

뿐만아니라 포획한 동물의 치료비와 사료비도 만만치 않아 예산부족에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력 손실이 너무 큰 점도 문제다. 제주시의 경우 축산계 직원 4명이 포획 업무를 맡아 하루 평균 4회 이상 현장에 출동하면서 고유 업무는 아예 손도 대기 어려울 정도다.

제주시 관계자는"1마리를 잡기위해서는 적어도 3~4회 정도는 현장에 출동해야 한다"며 "퇴근후 야간.새벽 출동이 빈발하다보니 직원들의 사기도 크게 떨어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0대책은 없나=길에 버려진 개나 고양이등 유기동물로 인한 문제는 전국적인 골칫거리지만 뚜렷한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다만 인천이나 광주등 광역시의 경우는 유기동물 보호 조례를 제정해 제도적 뒷받침을 하고 있고 상당수 지자체가 동물구조협회의를 통해 위탁. 처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도 광역단위 차원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유기동물 구조.관리 등을 전담할수 있는 민간 동물보호센터등의 설치나 유기동물 처리 전담인력을 증원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유기동물을 제대로 관리.보호 위해서는 관련 조례의 제정 및 전담기구 설치와 함께 올바른 애견문화 정착을 위한 시민의식 전환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