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동기 사퇴' 파장 최소화 주력
靑, `정동기 사퇴' 파장 최소화 주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정동기 사퇴, 집권후반 국정 운영과는 별개"
李대통령, 정치력ㆍ국정장악력 `시험대'
청와대는 12일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가 여론에 떼밀려 자진 사퇴하자 내심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이로 인한 파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집권 후반기인 4년차에 들어서자마자 이 같은 불상사가 발생한 것이 혹여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 약화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해서다.

청와대는 특히 여당 지도부가 청와대와 사전조율 없이 일방적으로 자진사퇴를 요구하고 당청간 갈등을 빚은 뒤 정 후보자가 결국 사퇴한 모양새가 외형상으로는 집권 말기 권력누수 현상(레임덕)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점을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실제로 야권은 정국의 프레임을 `레임덕 돌입'으로 규정하려 애쓰고 있고, 여권 일각에서도 오랫동안 금기어였던 `레임덕'이란 단어를 입에 올리는 인사들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정 후보자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법무행정분과 간사와 대통령실 민정수석을 거친 측근이어서 이 대통령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점도 부담이다.

야권이 `국정 파트너'인 여당에서조차 인사 검증이 부실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점도 파장을 키울 수 있다. 인사 검증 부실론이 힘을 얻으면 관련자 인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청와대의 인사 추천과 검증 업무에 가장 큰 책임과 권한을 갖고 있는 임태희 대통령실장에 대해서는 정치권에서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임 실장이 정 후보자의 경동고 3년 후배라는 점이란 인맥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는 게 사실이다.
정치권에서는 임 실장과 함께 정무.인사 라인에 대해서도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러나 진언을 제대로 못했다고 참모들에게 모두 책임을 넘기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 대통령이 정 후보자에게 애착을 갖고 중용을 고집했다면 참모들이 진언하는데도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정 후보자의 사퇴가 개인적 문제임을 부각하면서 차단막 치기에 나섰다. 좀 더 책임 소재를 확장하더라도 어디까지나 인사검증 라인의 문제에 그칠뿐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고위직 후보자 1명의 낙마를 이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에 연결시켜 레임덕을 거론하는 것은 근거없는 정치 공세일뿐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 대통령 개인의 지지율이 높은 만큼 민심을 보고 차근차근 앞으로 나아가면 국정 장악력에 상처를 입거나 주요 국정 과제 추진에 장애가 오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

청와대 핵심참모는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대 지지율로도 할 일을 다 했는데, 이 대통령은 지지율이 훨씬 높은 만큼 문제가 안 될 것"이라며 "이 일 하나로 정권에 레임덕이 온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참모는 "대통령 임기가 1년 남은 것도 아니고 아직 2년이나 남아 있는데 단발적인 사건 하나로 레임덕이라고 말하는 것은 맞지 않다"면서 "한나라당 지도부가 성급하게 이번 일을 처리한 것이 나중에 오히려 부메랑을 맞게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정치권의 시각은 다르다. 일단 정 후보자의 사퇴로 논란을 일단락짓긴 했지만 이 대통령의 정치력과 국정 장악능력은 이제부터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는 분석이 많다.

여권 관계자는 "이제부터 이 대통령의 진짜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앞으로 대(對)여당 관계에서 이 대통령이 태도를 바꿔 개각을 비롯한 고위직 인사 때마다 여당 지도부와 긴밀히 협의를 하고 4대강 사업과 같은 주요 국정과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필요할 때마다 여당의 협조를 정중히 구해야 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공식일정 없이 청와대 본관에서 참모들로부터 정국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정 후보자의 사퇴 문제 때문에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게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됐지만, 청와대 측은 "오늘은 이미 지난주부터 일정이 없는 것으로 잡혀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