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은행
미술은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영국 현대미술의 상징인 데미언 허스트(Damien hirst.39)의 작품 ‘상어’가 미국 컬렉터에게 무려 700만파운드(한화 약 140억원)에 팔렸다고 영국 선데이 타임즈가 보도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술품 컬렉터인 영국의 ‘사치’가 이 작품을 사들인 것은 1991년 5만파운드(1억원)으로 그동안 허스트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140배의 수익을 올리게 된 것이다.

생존작가의 그림값 때문에 새해벽두부터 국제미술시장이 술렁이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사건으로 받아들이기에 충분한 소식이다. 미술시장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 비춰 볼 때 더더욱 그렇다.

▲IMF 경제난을 겪은 이후 우리 미술시장은 극심한 어려움에 처해왔다. 한국경제가 활로를 모색하고 있던 당시 미술시장도 예외없이 거품이 빠지며 한파를 경험했다.

사실 미술품에는 미적효용을 주는 소비재 역할과 일정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수단이라는 이중성을 갖고 있다. 물론 1990년대 중반 잠시 투기의 대상으로 미술품이 반짝 부각되면서 양도세 논쟁도 있었지만 지금껏 소규모의 영세한 시장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미술품이 거래되는 미술시장의 핵심주체는 작가(작품), 화랑(화상), 수요자(콜렉터)의 3자관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주체인 작가(화가)도 현재 우리나라에 많게는 1만명이상 집계되고 있다. 물론 이 많은 화가들이 전부 미술시장에서 공급자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불과 1%인 100명의 화가만이 제대로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나아가 수요자나 화랑의 역할도 거기서 거기인 미약한 수준이고 보면 정부의 지원이 아쉬운 때다.

▲때마침 문화부가 올해 예산 25억원에서 시작해 6년안에 연간 30억원 안팎으로 예산을 늘려 매년 200~300점의 미술품을 구입할 것이라고 한다. 이른바 ‘미술은행(Art Bank)’제도. 미술은행이란 정부가 미술품을 구입해 전시나 공공기관, 일반에 임대하는 제도로 해외의 많은 나라에서는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도다.

즉각 미술계의 반응은 환영 일색이다. 그러나 반가운 소식임에 앞서 치열한 작가의식이 포함된 작품수준의 향상, 건전한 미술시장의 유통구조, 작품 감상을 위한 공간 확대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여기에 수년째 진행중인 제주도미술관 건립 사업을 지켜보면 답답한 심정이다.

비록 제주도가 내년 예산에 도립미술관 현상설계공모시상금을 반영하는 등 부지선정, 건립비용 등을 고심하고는 있지만 미술은행제도 시행과 관련해 곱씹고 넘어야 할 또다른 산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