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해거리’ 타령, 이젠 창피한 일이다
감귤‘해거리’ 타령, 이젠 창피한 일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올해산 노지감귤이 대풍작을 이룰 것이라는 예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해거리’ 현상으로 2010년산 생산량이 전년에 비해 줄었기 때문에 올해산이 늘어날 것이라는 것은 불문곡직 사실이었지만, 실증 조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당연히 적정량을 생산하기 위한 감산이 ‘발등의 불’이 됐다.

감귤은 해 걸러 많이 열리는 이른바 ‘해거리’ 현상 때문에 생산량의 증감이 어느 정도 예견되고 있다. 그렇지만 농정당국이나 생산자단체 모두 적정생산과 공급을 통한 가격안정을 유도하는 데는 여전히 서툴러 해묵은 논란이 재연되는 것도 사실이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는 이달 중순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와 남원읍 지역 감귤원 10개소를 표본으로 꽃눈 발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열매 달릴 가지당 발아한 꽃눈 수가 평균 2.38개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시기 평균 꽃눈 수 1.08개보다 2배 이상 많아 그만큼 열매가 많이 달릴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농업기술센터의 설명이다. 풍작이었던 지난 2009년(2.62개)에 비해서는 0.24개 적은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은 지난 2009년(65만5000t)과 비슷하거나 대체로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적정 생산량인 58만t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어서 감산과 유통처리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농업기술센터의 조사에 앞서 제주도 당국도 이미 지난달부터 올해산 노지감귤의 생산량은 66만9000t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는 적정수요량으로 삼고 있는 58만t보다 8만9000t 많은 물량이다. 이 때문에 농정당국과 생산자단체 등은 지난해산 노지감귤 유통처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지난 2월부터 적정생산을 통한 가격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감산시책 추진에 서둘러 나섰다.

감귤원 2분의 1 간벌과 휴식년제 시행을 통해 모두 4만5000여 t을 감산, 적정생산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다행히 과잉생산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간벌 참여 면적도 당초 목표인 1100㏊의 3배에 가까운 2900여 ㏊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휴식년제와 수상선과 등을 통해서도 일정량 감산이 이뤄지기 때문에 계획대로 감산시책이 추진될 경우 적정생산에 근접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과제가 아닐 수 있다.

문제는 농정당국과 생산자단체의 일관적이고 확고한 정책의지와 농가의 참여도일 것이다. 농정당국은 올해 초 이미 지난달 자신들이 제시했던 감산정책에 따른 지원 가이드라인을 번복한 적이 있다. 반드시 지원할 부분이었다면 처음부터 했어야 했다. 그래서 한 달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정책안목이란 지적을 받는 것이다. 이런 모습이 농가들에게는 자칫 ‘우는 아이에게 떡 하나 더 준다’는 식의 무임승차 의식을 심어줄 수 있다. 민선자치시대여서 표가 있는 곳에서 볼멘소리를 하면 외면하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이 같은 관행이 감귤산업의 자생력을 다지는 데 발목을 잡았다.

농가 역시 예외여서는 안된다. 의무가 따르지 않는 권리는 설득력이 없다. 간벌은 남이 하고 결실은 함께 나누겠다는 얌체 농가가 아직도 많다. 한쪽에선 300만∼400만원하는 파쇄기를 자비로 구입해 2∼3년마다 묵묵히 간벌을 실천하는 농가가 있는 반면 방치하다시피 한 밀식감귤원에서 꼬박꼬박 수확에만 눈독을 들이는 생산자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기에 올해 노지감귤은 ‘해거리’로 과잉생산이 우려되지만 농가의 의지로 그 ‘해거리’를 거뜬히 넘어서는 원년으로 만들어야 한다.

‘해거리’에 더 이상 감귤산업이 발목잡혀선 정말 창피한 일이다.<신정익 편집부장 대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