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도시, 제주도에는 없다?
기업도시, 제주도에는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관광레저형기업도시’라는 신조어가 새롭게 등장했다.

그런데 관광에 ‘레저(leisure)’라는 용어에 거부감이 든다. 오히려 우리말인 ‘여가(餘暇)’를 사용하여 관광여가형기업도시라해도 좋을 텐데 말이다. ‘관광’다음에 부쳐서 쓰는 것도 문제이다. 오히려 관광유치형, 관광특수형, 관광산업형 등으로 하면 어떤가.

분명히 관광은 여가의 한 부류(이동형)로서 여가활동의 한 형태에 불과한데, 여가의 구실이 미사여구나 수식인 것으로 타락되기 때문이다. 어쩌든 국가차원에서 외국문자를 그대로 받아드리는 감에 자존심이 상한다. 분명한 것은 선정성, 상업성은 아닐 것이다. 진정 정부가 행정수도 이전계획과 국가균형개발이라는 명분으로 지방도시 건설조성사업으로 의도된 ‘기업도시개발특별법‘에 의해 국가적 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관광레저형기업도시’는 산업교역형, 지식기반형, 혁신거점형과 함께 태어난 것이다. 건설 대상지가 지정되면 인허가와 행정절차의 가속도와 각종조세 및 부담금감면, 규제완화는 물론 세제지원 등 혜택이 쏟아져 나온다. 도시이름들이 낯설지만 세련과 의욕이 넘치고 충동욕이 솟구친다. 그래서 순간 전국 지방기업도시유치전이 40개 지역에 달하기도 하였다. 그중에도 ’관광레저형기업도시‘는 군침이 돈다. 그러나 관광레저형은 다른 기업도시와는 달리 기업의 주도라는 면에 200만평의 규모와 이에 달하는 국내외 자본투자역시 현실적으로 그렇게 쉽지가 않다.

관광레저권인 도시형성으로 7조~8조원도 최상의 서비스 상품유지와 경쟁력 대응관리의 유지비지출 면에서 형평성을 잃고 있다. 이미 올해 1월말, 문화관광부가 주최자인 전경련과 동시에 서남해안개발계획을 발표하였다. 전남 해남, 영암지역의 매립간척지를 포함한 500만평규모로 민간기업, 지자체, 한국관광공사 등이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올 3월말 선정한다는 것이다. 요는 이곳을 시범적 건설도시로 조기에 가시화하여 관련기업도시의 관심과 투자유치의 유도로 선도적 모델케이스로서 관광레저도시개발을 우선권으로 부여한다는 점이다. 올 5월 시행예정으로 당장에 ‘관광레저도시추진기획단’조직과 함께 5~6개의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한다. 이 바람에 여러 곳에서 폼 잡던 시, 도들 맥이 풀리고 있다. 그러나 제2, 제3지구선정에 매달려 이웃인 전북 군산, 김제, 새만금 지구와 남원, 무주하며 제주도서귀포시, 강원도 강릉, 양양이 강경한 형편이다.

이미 제주도는 한국제일의 관광지이며 세계적인 국제관광지는 물론 국제자유도시 부각으로 자리매김이 되어 있다. 중문관광단지와 제2관광단지와 연계되는 ‘관광레저형기업도시’로서는 최적이자 모범이며 표상이 아닐 수 없다. 문제인 즉은 다른 형의 기업도시는 모르되 ‘관광레저형기업도시’의 200만평 이상은 과다한 면이 있지 않은가 한다.

바라건대 200만평의 상하규모로 차별화로 나누는 것이 보다 지역사업의 유용성과 특화된 전략으로 현실성이 있어 보인다. 제주도를 단순히 부지조건으로 시범선정에서 제외됨과 이외 제2, 제3선정까지 제외된다면 도민과 국민적 반감은 물론 국제적 망신 꼴이 아닐 수 없다. 관광레저인 용어가 상업성인 신조어나 유행어가 아니길 바란다. 그리고 왜 이렇게 전국을 행정도시, 기업도시 등이 동시다발로 만들어야만 하는가? 전국을 삽시간에 농촌없는 도시지대로 만드는 실책이 되지나 않을까 우려된다. 지방은 온통 ‘장미빛’으로 흥분상태이고 ‘2006년 전국토 수술직전인 감에 초조하기조차 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