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 중단은 안 된다'
'논의 중단은 안 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기업의 조직과 그 문화가 경쟁력인 시대다.

급변하는 시장변화에 제대로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기업만이 경쟁에서 살아 남고 있다.

변화에 대한 적응과 부적응의 문제는 조직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무거운 조직일수록 변화에 둔감하고, 가벼울수록 변화에 민감하다. 잘 나가던 기업이 하루 아침에 맥없이 쓰러지는 사례의 원인은 변화에 대한 무신경, 무감각 때문이다.

예를 들면, 뜨거운 물에 발가락이 닿자마자 두뇌가 인식하면, 화상의 피해는 경미하다. 반대로 신경체계가 무디어 두뇌에 전달되는 속도가 느리면, 그 만큼 피해는 크다. 관료주의에 젖은 기업이 몰락의 길을 걷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치단체의 조직도 마찬가지다.

세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조직체계라면, 그 경쟁력은 높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세상은 디지털인데 자치단체가 아날로그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자치단체가 세상을 따라잡지 못하기 때문에 그 피해는 지역주민에게 돌아온다. 그러니 이 경우는 매우 위험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민간부문보다는 공공부문이 변화에 약한 것이 현실이다.

시스템적으로 관료주의가 팽배하고, 조직문화 자체가 과거 지향적이며, 현실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짙어 그렇다.

그렇다면 도내 자치단체의 변화 적응력은 어느 정도일까.

현재로선 이를 계량화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다. 그러나 도내 자치단체별로 조직 분위기와 일 처리 속도 등은 분명 다르다.

그렇지만 다른 시도와 비교할 경우엔 서로 엇비슷하다 할 것이다.

이에 반해 자치단체에 거는 도민 기대감이 다른 시도에 비해 클 것 같다.

약한 도세, 취약한 산업구조와 경제력으로 행정 의존율이 높기 때문이다.

도내 자치단체는 경제주체로서 도내에서 최고의 투자자이고, 또한 최고의 소비자다. 게다가 실질적인 비전을 창출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고 있다. 자치단체의 능력에 따라 제주의 삶의 질이 달라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도민들은 자치단체가 국내는 물론 세계의 변화를 읽고, 재빨리 대처해 주길 고대한다.

또 자치단체가 마련한 장기적인 대처방안이 제주의 생존 전략이고, 비전이기를 희망한다.

최근 도민 설명회로 본격화되고 있는 자치단체의 시스템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하면 될 듯 싶다.

이번 논의의 핵심은 현행체제를 유지할 것인가, 단일 광역체제로 혁신할 것인가이다.

근래 이를 둘러싼 찬반의 목소리도 분명하게 갈리고 있다.

제주도행정개혁위원회가 실시한 최근 여론조사에선 도민 절반 이상이 혁신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내 4개시군 시장군수들은 혁신안에 대해 우려 표명으로,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도내 기초단체 의회 의원들은 현체제 유지를 강조하며, 계층구조 개편에 대한 논의 자체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어떠한 명분을 내세우더라도, 기초의회 의원들의 논의 중단 요구는 납득하기 어렵고, 현실적이지 못한 것 같다. 2년 동안 관련 논의가 진행됐고, 주민투표 등 구체적인 선택의 방법이 이미 결정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논의가 중단됐을 경우 또 다른 혼란을 불러일으킬 것이 자명하다.

자치단체의 시스템은 도민이 선택할 사안이다. 충분한 내용을 도민에게 알릴 수 있는 방안마련이 우선이다. 그래서 도민들이 올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주역시 어떠한 시스템으로 운영되느냐에 따라 제주의 미래가 갈리기 때문이다.

지금은 도민 모두가 계층구조 개편에 관심을 갖고 그 선택에 고민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