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 값뿐만 아니라 질도 보자
대학교육, 값뿐만 아니라 질도 보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이병수 미국 엘론대 교수/언론정보학
동계올림픽의 평창 유치로 모든 국민들이 즐거워하고 있다. 스포츠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은 이미 무역, 경제 분야에서 세계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고, 문화면에서의 한류 열풍도 서서히 퍼지고 있다. 국민이 힘을 합해 노력해야 할 다음 영역은 무엇일까. 필자의 생각으로는 대학교육개선이 아닌가 싶다. 최근에 한 세계대학평가기관에서 나온 대학평가를 보면 서울대가 50위를 기록하고, 대부분 상위대학들이 100위권 안팎을 차지한 데 그치고 있다. 이것이 한국 대학의 현주소를 완벽하게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한 단면을 보여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첫째, 세계적으로 우수한 학자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건실한 대학이 많이 존재해야 한다. 한국 휴대전화가 전 세계에서 인정받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폭넓은 내수시장이 필요했듯이, 노벨상을 타거나 세계에서 인정받는 학자를 키우기 위해서는 그들이 활동할 수 있는 무대가 필요하다. 즉 이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우수한 대학이 많이 있어야 한다. 대학은 또한 우리가 지향해야 할 지식정보산업에 필요한 인력 창출에 도움이 된다. 과거에는 제조업이 고용창출에 효자노릇을 했지만, 21세기에는 신기술의 도입으로 제조업에서 인력이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대학이 지식정보산업에 종사할 인력을 더 많이 키워야 함을 의미한다.



대학 수의 증가로 필요 이상의 고학력을 가진 사람이 늘어났다고 걱정하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필요한 학력을 갖춘 사람이 없어서 외국에서까지 인력을 수입하는 경우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또한 진짜 중요한 문제는 고학력이 아니라 어떤 것을 어떻게 배웠느냐다.



둘째,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배움에 대한 욕망이 큰 한국 학생들은 대한민국의 축복이다. 한국은 선진국의 문물을 빠른 시일 내에 배워서 물질적 경제 성장을 짧은 시일 내에 이뤘다. 한국이 이제는 지식산업에서 한 수 가르칠 입장이 되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토론과 비평을 통한 스스로 깨닫는 교육을 하려면 먼저 교수 1인이 담당하는 학생 수를 줄여야 한다. 미국 대학의 경우에는 교수 이외에 교수법이나 교과(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많은 전문적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셋째, 이런 조건을 갖춘 대학을 만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내는 등록금으로는 부족하다. 미국에서처럼 대학의 간부들이 자신이 이끄는 대학의 비전을 제시하고 뜻있는 이들을 감동시켜 기부금을 내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가 기부를 하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지 않다는 변명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하면 된다는 신념을 가진 능력 있는 사람들을 대학간부로 고용하고, 이들이 대우를 받으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남에게 봉사하는 자세를 갖고 기부자들을 설득한다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학과 대학생의 사회공헌 가능성을 감안하면 정부의 재정지원은 당연하다.



하지만 무조건 등록금의 반을 지원하는 것보다는 학생이 처해 있는 상황과, 대학이 창의력 있는 대학생을 키우려고 노력을 하느냐가 참작되어야 한다. 부정적인 시각에서는 정치인이 자신의 지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정부 재정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될수록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려고 한다고 믿고 있다. 진실이야 어쨌든 정부 지원금이 공짜로 하늘에서 떨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대한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사용해야 한다.



넷째, 학생의 상황과 대학의 노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보조를 해야 한다. 보조 심사과정에서 많은 잡음과 소요가 있기 때문에 전원 50%라는 획일적인 해결책을 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일사불란한 독재주의보다는 시끌벅적한 민주주의를 선택해야 하는 것처럼, 올바른 선택이라면 우여곡절이 있더라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이런 과정을 자꾸 거침으로써 국민 모두가 획일적인 사고방식을 버리고 다양성을 수용할 능력을 갖출 수 있다. 대학에 혜택을 주는 경우에도 정부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명령하기보다는 큰 테두리를 주고 각 대학이 이 안에서 각자 특성과 비전에 맞게 계획을 세우고 정부는 이것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하면 된다는 신념을 가진 국민이 대다수이므로 지금까지 많은 국제적인 쾌거를 달성했던 것처럼 대학교육발전에서도 조만간 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